4대강 사업이 녹조재앙을 키웠다/ 장하나 의원
페이지 정보
본문
경북 구미까지 이어진 녹조류가 합천창녕보 인근에서는 부패된 상태로 발견됐다. 합천창녕보와 인접한 상류의 한 지천에서는 녹조가 부패해 구역질을 유발하는 악취를 내품고 있다.
합천창녕보의 상류인 회천에서는 녹조가 강물을 뒤덮고 있다. 모래사장이었던 이 곳에는 강물을 막기 전에는 녹조가 발생한 적이 없던 청정수역이었다. 덕곡천 역시 역류하는 강물에 의해 녹조가 밀려들면서 싸이고 있는 모습이다. 합천창녕보의 녹조류는 간질환을 유발하는 독성물질이 있는 남조류로 확인됐다.
이렇게 수질이 오염되고 있지만, 정부당국은 조류경보제 운영기준에 따른 경보는 내리지 않고 있다. 수질예보제도 최하등급인 ‘관심’ 단계에까지도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있다.
녹조 발생의 원인에 대한 공방도 이어지고 있다. 시민단체와 야당은 녹조현상의 원인을 4대강사업으로 주장하고 있는 반면, 정부당국은 기온상승 때문이라는 입장을 되풀이 하고 있다.
썩은 녹조류 악취에 당황한 관계자, “여기는 낙동강이 아니다”
9일 합천창녕보를 찾은 민주통합당 장하나 의원은 마창진환경운동연합 관계자의 안내에 따라 녹조류가 번진 낙동강변을 찾았다.
합천창녕보에 인접한 상류의 한 지천에서는 마치 물감을 뿌려놓은 듯한 모습으로 강을 뒤덮은 녹조가 발견됐다. 낙동강과 접한 산의 계곡에서 흘러내리는 물길로 만들어진 이 지천에는 역류한 낙동강물로 인해 물이 고여 있는 상태였다.
현장에 접근해서 살펴본 녹조는 부패한 상태로 엉켜있고, 덩어리가 된 녹조의 상층부는 곰팡이로 덮힌 형상을 하고 있다. 이곳은 앞서 합천창녕보의 녹조를 제거한 수자원공사도 미처 발견하지 못한 곳이다.
장하나 의원은 이곳에 도착하자마 짧은 탄식소리를 냈다. 기자들의 취재가 시작되면서 뒤늦게 상황을 파악한 낙동강환경청 관계자는 순간 당황한 듯 “여기는 낙동강이 아니다”고 말했다. 이후 이 관계자는 “조류가 죽어서 부패한 사체”라는 입장을 밝혔다.
장 의원은 “4대강사업으로 수질이 좋아질 것이라고 주민들은 기대를 했다”며, “그런데 그 결과가 이 모양이어서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분노하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임희자 마창진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은 “낙동강 보로 인해 수위가 상승되고 물이 거꾸로 역류하면서 녹조가 지천으로 밀려 썪고 있는 것”이라며, “식수원인 낙동강 바닥에서는 녹조가 자생적으로 질소와 인을 분출하고 이 모습대로 썩어가며 수질을 오염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낙동강유역청, 녹조경보 단계에 못 미쳐
이날 낙동강유역환경청장은 장하나 의원에게 녹조의 주요발생원인은 기온상승이라고 설명하고, 상주보를 제외한 7개 보에서 남조류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수질관리는 매뉴얼에 따라 70mg/㎥부터 시작된다”며, “합천창녕보는 80.0mg/㎥로 관리상태지만 두 번 이상 높아지면 수질관리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낙동강 수계 21개 보 17개 정수장에서 고도정수처리시설이 갖춰져 남조류를 완벽하게 제거해 수질에는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장하나 의원은 내부 자료를 보면 Chl-a 농도가 25이상 해당된다며 조류경보가 내려져야 한다고 따졌다.
조류경보제는 지방환경청장이나 시도지사가 발령할 수 있다. 오염원의 농도가 Chl-a 15 mg/㎥ 이거나 남조류 세포수가 500㎖ 이상부터 조류주의보가 발령된다. 또, 농도가 Chl-a 25 mg/㎥ 이거나 5000㎖ 이상이면 조류경보가 발령된다.
또다른 수질관리 매뉴얼인 수질예보제에 대해 경남도 관계자는 70mg/㎥가 되면 최하등급인 관심단계에 이르고 주의, 경계, 심각단계로 발령된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현재의 녹조 데이터로 볼 때 대응 조치할 단계가 아니다”고 말하고, “수자원공사에 수문을 열 것을 촉구하는 수차례 공문을 보냈지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임희자 마창진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은 “강바닥에서 자생적으로 썩은 오염원으로 수질이 오염된다”며, “데이터만 볼 것이 아니라 현장을 봐야 한다”고 말했다.
장하나 의원, “4대강사업이 녹조 재앙을 키웠다”
장하나 의원은 이날 합천창녕보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4대강 사업이 녹조 재앙을 키웠다”며, “녹조와 4대강 사업은 관련이 없다는 청와대의 인식은 곤란하다”고 말했다.
그는 “비가 와서 녹조가 사라진다 해도 그것은 일시적 현상일 뿐, 녹조가 낙동강을 뒤덮고 있는 상황이 더욱 길어질 가능성이 높다”며, “녹조 재앙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상시 수문개방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4대강 사업으로 파괴된 낙동강을 진단하고 원래 모습으로 되돌릴 수 잇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국회 차원에서 녹조 재앙에 대한 진상조사가 제대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 의원은 “낙동강의 수질이 악화된 것은 정부의 중요한 과실로 낙동강 하류 주민에게 부과하는 물이용부담금 제도에 대한 법률 개정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경남도 도지사권한대행은 경남도보건환경연구원의 낙동강 수질분석 자료 발표시 사전에 환경부와 협의토록 지시한 것이 드러났다며 진실을 통제하려는 정권은 더 이상 신뢰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합천창녕보의 상류인 회천에서는 녹조가 강물을 뒤덮고 있다. 모래사장이었던 이 곳에는 강물을 막기 전에는 녹조가 발생한 적이 없던 청정수역이었다. 덕곡천 역시 역류하는 강물에 의해 녹조가 밀려들면서 싸이고 있는 모습이다. 합천창녕보의 녹조류는 간질환을 유발하는 독성물질이 있는 남조류로 확인됐다.
이렇게 수질이 오염되고 있지만, 정부당국은 조류경보제 운영기준에 따른 경보는 내리지 않고 있다. 수질예보제도 최하등급인 ‘관심’ 단계에까지도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있다.
녹조 발생의 원인에 대한 공방도 이어지고 있다. 시민단체와 야당은 녹조현상의 원인을 4대강사업으로 주장하고 있는 반면, 정부당국은 기온상승 때문이라는 입장을 되풀이 하고 있다.
ⓒ구자환 기자
합천창녕보에서 발견된 썩은 녹조류. 낙동강 지천을 뒤덮은 부패한 녹조는 구토를 유발할 정도의 악취를 품어 냈다.
ⓒ구자환 기자
합천창녕보와 인접한 상류 지천에서 부패한 채 악취를 내고 있는 녹조류. 환경청 관계자는 '이곳은 낙동강이 아니다'고 말했다.
썩은 녹조류 악취에 당황한 관계자, “여기는 낙동강이 아니다”
9일 합천창녕보를 찾은 민주통합당 장하나 의원은 마창진환경운동연합 관계자의 안내에 따라 녹조류가 번진 낙동강변을 찾았다.
합천창녕보에 인접한 상류의 한 지천에서는 마치 물감을 뿌려놓은 듯한 모습으로 강을 뒤덮은 녹조가 발견됐다. 낙동강과 접한 산의 계곡에서 흘러내리는 물길로 만들어진 이 지천에는 역류한 낙동강물로 인해 물이 고여 있는 상태였다.
현장에 접근해서 살펴본 녹조는 부패한 상태로 엉켜있고, 덩어리가 된 녹조의 상층부는 곰팡이로 덮힌 형상을 하고 있다. 이곳은 앞서 합천창녕보의 녹조를 제거한 수자원공사도 미처 발견하지 못한 곳이다.
장하나 의원은 이곳에 도착하자마 짧은 탄식소리를 냈다. 기자들의 취재가 시작되면서 뒤늦게 상황을 파악한 낙동강환경청 관계자는 순간 당황한 듯 “여기는 낙동강이 아니다”고 말했다. 이후 이 관계자는 “조류가 죽어서 부패한 사체”라는 입장을 밝혔다.
장 의원은 “4대강사업으로 수질이 좋아질 것이라고 주민들은 기대를 했다”며, “그런데 그 결과가 이 모양이어서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분노하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임희자 마창진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은 “낙동강 보로 인해 수위가 상승되고 물이 거꾸로 역류하면서 녹조가 지천으로 밀려 썪고 있는 것”이라며, “식수원인 낙동강 바닥에서는 녹조가 자생적으로 질소와 인을 분출하고 이 모습대로 썩어가며 수질을 오염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구자환 기자
합천창녕보 상류인 회천을 뒤 덮은 녹조류. 모래하천이었던 회천은 4대강 사업으로 합천보가 세워진 이후부터 녹조가 발생했다.
ⓒ구자환 기자
녹조류가 경북 구미까지 이어졌다. 사진은 합천창녕보 상류를 덮고 있는 녹조류
낙동강유역청, 녹조경보 단계에 못 미쳐
이날 낙동강유역환경청장은 장하나 의원에게 녹조의 주요발생원인은 기온상승이라고 설명하고, 상주보를 제외한 7개 보에서 남조류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수질관리는 매뉴얼에 따라 70mg/㎥부터 시작된다”며, “합천창녕보는 80.0mg/㎥로 관리상태지만 두 번 이상 높아지면 수질관리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낙동강 수계 21개 보 17개 정수장에서 고도정수처리시설이 갖춰져 남조류를 완벽하게 제거해 수질에는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장하나 의원은 내부 자료를 보면 Chl-a 농도가 25이상 해당된다며 조류경보가 내려져야 한다고 따졌다.
조류경보제는 지방환경청장이나 시도지사가 발령할 수 있다. 오염원의 농도가 Chl-a 15 mg/㎥ 이거나 남조류 세포수가 500㎖ 이상부터 조류주의보가 발령된다. 또, 농도가 Chl-a 25 mg/㎥ 이거나 5000㎖ 이상이면 조류경보가 발령된다.
또다른 수질관리 매뉴얼인 수질예보제에 대해 경남도 관계자는 70mg/㎥가 되면 최하등급인 관심단계에 이르고 주의, 경계, 심각단계로 발령된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현재의 녹조 데이터로 볼 때 대응 조치할 단계가 아니다”고 말하고, “수자원공사에 수문을 열 것을 촉구하는 수차례 공문을 보냈지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임희자 마창진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은 “강바닥에서 자생적으로 썩은 오염원으로 수질이 오염된다”며, “데이터만 볼 것이 아니라 현장을 봐야 한다”고 말했다.
ⓒ구자환 기자
장하나 의원이 코를 막은 채 부패한 녹조류를 만져보고 있다.
장하나 의원, “4대강사업이 녹조 재앙을 키웠다”
장하나 의원은 이날 합천창녕보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4대강 사업이 녹조 재앙을 키웠다”며, “녹조와 4대강 사업은 관련이 없다는 청와대의 인식은 곤란하다”고 말했다.
그는 “비가 와서 녹조가 사라진다 해도 그것은 일시적 현상일 뿐, 녹조가 낙동강을 뒤덮고 있는 상황이 더욱 길어질 가능성이 높다”며, “녹조 재앙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상시 수문개방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4대강 사업으로 파괴된 낙동강을 진단하고 원래 모습으로 되돌릴 수 잇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국회 차원에서 녹조 재앙에 대한 진상조사가 제대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 의원은 “낙동강의 수질이 악화된 것은 정부의 중요한 과실로 낙동강 하류 주민에게 부과하는 물이용부담금 제도에 대한 법률 개정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경남도 도지사권한대행은 경남도보건환경연구원의 낙동강 수질분석 자료 발표시 사전에 환경부와 협의토록 지시한 것이 드러났다며 진실을 통제하려는 정권은 더 이상 신뢰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구자환 기자 hanhit@vop.co.k
(새누리당의 터전인 경상도 지역이 저 무모한 4대강 사업으로 가장 큰 재앙을 당하고 있다. 잘못된 정책을 주도한 새누리당에서 이젠 등을 돌려야 할 때다)
- 이전글[연재기획-2]8.15광복을 해방으로 승화시키자 12.08.09
- 다음글현대판 유토피아 유타주 12.08.08
댓글목록
자세님의 댓글
자세 작성일
강에 이끼가 끼고 문제가 있다고 하면 일단 그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 나가겠다는 식의 말들이 나와야지...
정부란 것이 이토록 근거없는 책임회피식의 자세만 보이면
도대체 계속 주어지는 일들은 어떻게 처리해 나가겠다는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