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 력사를 가진 우리 민족의 화초장식문화​ > 기사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기사

오랜 력사를 가진 우리 민족의 화초장식문화​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사나이
댓글 0건 조회 4,590회 작성일 22-05-06 15:20

본문

주체111(2022)년 5월 7일

오랜 력사를 가진 우리 민족의 화초장식문화​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교시하시였다.

《우리 민족은 반만년의 유구한 력사와 찬란한 문화를 가진 자랑스러운 민족입니다.》

남달리 아름답고 고상한것을 좋아한 우리 조선민족은 일찍부터 화초장식문화를 창조하고 발전시켜왔다.

우리 선조들은 아득히 먼 고조선시기부터 숲과 나무 등을 신성시하고 꽃을 몹시 사랑하였으며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여 신에게 제를 지내던 제단을 꽃과 풀로 장식하였다.

이러한 화초장식은 삼국시기에 고구려를 중심으로 대대적으로 발전하였다.

이 시기에 화초장식은 절대적인 완결성과 안정감을 추구하면서도 비교적 풍만하고 부드러운 형태를 갖추었다.

쌍기둥무덤과 강서세무덤, 안악2호무덤 등 고구려무덤벽화들은 당시 화초장식문화의 실상을 그대로 보여주고있다.

고려시기에도 고구려의 영향을 받아 화초장식은 다양한 형식으로 발전하였다.

이때부터 우리 나라에서 화초장식은 실용적인 목적과 미적감상의 대상으로서의 가치를 가지기 시작하였다.

이 시기 화초장식문화발전에서 기본은 왕궁에서 화초장식이 장려되면서 그 리용범위와 표현령역이 보다 넓어지게 된것이다.

청자기를 비롯한 고려자기들의 출현도 당시의 화초장식문화발전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수덕사 대웅전의 수화도와 야화도를 비롯한 벽화들, 고려의 관리이며 시인이였던 리규보가 쓴 《동국리상국집》 등 서적들에도 고려시기 화초장식의 발전상이 비껴있다.


- 화초장식을 형상한 고려시기의 벽화 -


- 화초장식을 한 고려자기들 -


조선봉건왕조시기에 들어와 화초장식은 새로운 면모를 드러내기 시작하였다.

화려함보다는 품위와 격을 중시한 이 시기 화초장식에서는 정갈하고 단아하며 깨끗한 분위기조성을 위해 실용적인 측면을 추구한것이 특징적이다. 이와 함께 평민들의 생활정서를 반영한 화초장식이 널리 리용되였는데 특히 꺾은꽃을 병에 꽂아넣는 형식으로 만든 병화를 흔히 찾아볼수 있다.

안견, 리상좌와 함께 15세기의 대표적인 화가로서 다른 나라에까지 이름을 날렸던 강희안이 쓴 원예서적인 《양화소록》(《청천양화소록》이라고도 함)과 17세기의 이름난 작가이며 학자였던 허균의 문집 《성소부부고》, 18세기의 실학자였던 홍만선의 《산림경제》 등 화초와 관련된 책들이 많이 출판된것을 통해서도 당시 우리 나라에서 화초장식이 중시되고있었다는것을 알수 있다.

강희안의 《양화소록》은 그가 돈녕부 지사라는 벼슬자리에 있을 때 화초에 관심을 가지고 직접 가꾸는 과정에 이룩한 경험과 원예부문 서적을 참고하여 쓴 책으로서 화분꽃가꾸기법, 꽃을 아름답게 피우는 방법, 화초를 접하는 방법 등에 대하여 소개하고있다.

조선봉건왕조말기에는 실학자들에 의하여 화초장식이 과학적인 연구대상으로 되기도 하였다.

이처럼 우리 민족의 화초장식문화는 오랜 력사와 전통을 가지고있다.


- 조선봉건왕조시기의 화초장식을 형상한 그림들 -

본사기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서비스이용약관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 상단으로


Copyright © 2010 - 2023 www.hanseattle1.com All rights reserved.